1장 웹 프로그래밍의 시작
1.2 웹 기본 동작 방식 이해하기
- Java EE
- 서버 쪽에서 프로그래밍을 통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, 즉 서버 사이드 프로그래밍을 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들을 정리한 기술 스펙
- 고려사항의 예
- 동시에 여러 요청이 들어온다면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가?
- 서버에서 문제가 생기면 이를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가?
- 어떤 방법으로 데이터 전송을 최적화할 수 있을까?
- 분산 환경이나 분산 처리와 같은 문제는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?
- Java EE 기술의 예
- Servlet
- 서버에서 동적으로 요청과 응답을 처리할 수 있는 API들을 정리한 것
- Servlet Container가 서블릿/JSP 객체를 생성하고 생명주기를 관리한다
- tomcat은 서블릿을 실행할 수 있는 환경, 즉 Servlet Container이다
- 자바 코드 안에 HTML 코드를 추가하는 방식
- JSP:
- Java Server Pages, 서버에서 동적으로 데이터를 구성하는 기술
- 서블릿과 같은 목적이지만, 브라우저에 보내는 HTML 데이터를 만들어내는데 더 특화되었다
- 내부적으로 서블릿과 같은 방식의 코드로 변환된다
- HTML 코드 내에 자바 코드를 추가하는 방식
- Web MVC
- JSP의 경우 유지보수나 URL 변경 등이 유연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부각되면서 2000년대 중반 이후에는 거의 MVC 형식으로 개발되었다.
- Model: Controller에게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역할
- Controller: View에 필요한 데이터를 가공하는 역할(servlet)
- View: Controller가 가공한 결과를 출력하는 역할(JSP)
참고자료
댓글남기기